한국해양수산개발원, 청색경제 전략으로 새 도약 선언
조정희 원장 취임 후 첫 언론 간담회…조직 개편·4대 경영전략 발표
글로벌 공급망 대응·북극항로 연구·스마트 항만 육성 본격화

2025년 8월 19일, 한국해양수산개발원(KMI)이 서울 중구에서 공식 언론 간담회를 열고 청색경제를 핵심 비전으로 한 중장기 전략을 발표했다. 이번 간담회는 조정희 원장 취임 이후 처음 마련된 공식 언론 소통 자리로, 조직 개편과 연구 전략, 정책 방향을 총망라한 청사진이 제시됐다.
KMI는 1984년 해운기술원으로 출범해 1997년 한국해양수산개발원으로 확대 개편됐으며, 2015년 부산 영도로 청사를 이전했다. 현재 인원은 총 318명이며, 이 중 223명이 연구직이고 박사 학위 소지자는 111명에 달한다. 2024년 기준 예산은 521억 원으로, 해양수산 정책 기반 연구기관으로서 인적·재정적 역량을 갖추고 있다. 해양, 수산, 해운, 항만, 물류 전반을 아우르는 정책 연구를 수행하며, 국내외 협력과 현장 기반 조사 역량도 꾸준히 강화 중이다.
조 원장은 이날 “KMI는 단순한 연구기관을 넘어 해양수산 산업과 정책을 연결하는 전략 허브가 돼야 한다”며 “청색경제 실현을 위한 정책 연구와 실행력이 함께 작동하는 조직으로 도약하겠다”고 밝혔다.
그에 따라 KMI는 최근 대대적인 조직 개편을 단행했다. 기존 11개 부서 체계는 8개 본부로 재편됐고, 행정체계도 9본부 2부 2실에서 7본부 1부 1실로 간소화됐다. 해운·물류·해사 기능은 ‘해운물류해사연구본부’로 통합됐으며, ‘항만연구본부’와 ‘글로벌전략연구본부’가 신설돼 기능별 연구 역량이 보다 정밀해졌다.
조직 체계는 기획조정본부, 해양연구본부, 수산연구본부, 해운물류해사연구본부, 항만연구본부, 글로벌전략연구본부, 경영지원본부, 어촌연구본부로 구성됐으며, 각 본부의 역할 분담을 통해 현안 대응과 미래 전략 수립 능력이 동시에 강화됐다.
정책 실행력을 높이기 위한 지원 조직도 대폭 정비됐다. 북극항로지원단, 해양수산AI전환지원단, 해양정책보완지원단, 해양수산에너지전환지원단 등 4개 정책지원단이 운영되고 있으며, 연구자의 자율성과 창의성을 높이기 위한 자율연구그룹도 12개 팀으로 확대 운영 중이다.
이번 조직 개편은 KMI의 4대 경영 전략과 직결된다. △과학기술 기반의 해양수산 미래 선도 △현장 밀착형 연구를 통한 민생·경제 회복 △경계를 뛰어넘는 융복합 협력 강화 △신뢰 기반의 경영 혁신이 그 핵심이다.

첫 번째 전략은 인공지능(AI), 빅데이터 등 과학기술을 정책연구에 본격 적용해 예측 역량과 정책 적시성을 높이는 것이다. 해양수산 AI 전환 지원단을 통해 기술 기반 시뮬레이션과 알고리즘 분석 체계를 마련하고 있다.
두 번째 전략은 수산업, 항만산업, 물류기업 등 산업 현장과 직접 연결된 연구를 확대해 실효적 정책을 도출하는 것이다. 민생 회복과 산업 경쟁력 강화 모두를 포괄하는 정책 기반을 마련하는 데 초점을 맞춘다.
세 번째 전략은 조직 내외 융합 협력을 통해 복합적 현안에 대응하는 것이다. 해운·물류·해사 분야의 통합은 물론, UN, IMO 등 국제기구와의 협력도 확대되고 있으며, 다른 국내 연구기관과의 공동연구도 추진 중이다.
마지막 전략은 투명한 경영 체계와 연구윤리 확립을 통한 신뢰 기반 경영 혁신이다. 슬림화된 조직 구조에 맞춰 과제관리, 성과 평가, 연구과정 모니터링 체계를 강화하고 있다.

이러한 전략은 북극항로, 스마트 항만, 친환경 물류 등 주요 연구 과제에 이미 반영되고 있다. KMI는 북극항로 상용화 가능성을 중장기적으로 검토하고 있으며, 항만 분야에서는 전국 데이터를 통합 분석해 정책의 실효성을 높이고, 스마트 항만 장비 산업 육성 및 해외 진출 전략도 병행 추진 중이다.
이번 간담회는 KMI가 정책연구 기관을 넘어, 국가 해양수산 전략의 실행 거점으로 전환하겠다는 분명한 의지를 천명한 자리였다. 조정희 원장의 리더십 아래 개편된 조직과 전략이 해양수산 산업 전반에 어떤 실질적 변화를 이끌어낼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