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수부 대한민국 새단장 주간 맞아 해양보호구역 수중쓰레기 수거 청년 다이버 12명 참여
해양수산부가 대한민국 새단장 주간에 맞춰 9월 26일 강원 양양 조도 인근 남애리 해역에서 민관협력 수중정화 시범사업을 실시한다. 청년 다이버와 함께 해양보호구역의 침적 폐어구를 집중 수거해 현장 효과와 안전성, 확대 가능성을 점검한다.
대한민국 새단장 주간은 추석과 APEC 정상회의를 앞두고 중앙 정부와 지자체, 지역사회가 함께 풍수해 등으로 방치된 쓰레기를 정비하는 범국민 참여 활동으로 9월 22일부터 10월 1일까지 진행된다. 해양수산부는 이번 기간 중 해양쓰레기 취약 해역을 대상으로 수중정화 시범사업을 배치해 현장 체감도를 높인다.
작업 해역은 해양생태계의 보전 및 관리에 관한 법률에 따라 지정 관리되는 해양보호구역으로, 현재 전국에는 습지보호구역 18곳과 해양생태계보호구역 17곳 등 총 39곳이 운영 중이다. 해양보호구역 관리 과정에서는 생태계 교란을 줄이면서도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수거 방식이 요구돼 왔으며, 현장 의견을 반영한 방법론 검증이 과제로 제기돼 왔다.
이번 정화 작업에는 바다살리기네트워크 소속 청년 다이버 12명이 투입된다. 오전과 오후 두 차례 잠수를 통해 해저에 가라앉은 폐어구를 중심으로 수거한다. 해양수산부는 수거 품목, 수거량, 안전 조치, 저인망 위험 구간 등 세부 데이터를 수집하고 참여자 의견을 받아 후속 사업 설계에 반영할 계획이다.
이번 활동은 올 들어 진행된 동일 시범사업의 연장선이다. 5월 21일 강원 양양 조도 주변 해역과 7월 14일 제주 문섬 주변 해역에서 수작업 방식으로 수중정화를 실시해 각각 300킬로그램과 200킬로그램의 폐어구를 수거했다. 두 차례 누적 수거량은 500킬로그램이다.
해양수산부는 민관협력 수중정화의 효과 분석과 현장 의견 수렴 결과를 토대로 침적폐기물 정화 사업의 확대 여부를 검토할 방침이다. 생태 영향 최소화, 작업 안전, 비용 대비 효과, 지역사회 협력 모델 등 주요 요소를 종합 평가해 표준 절차와 가이드라인을 정비한다는 구상이다.
오행록 해양수산부 해양환경정책관은 청년 다이버의 자발적 참여에 감사의 뜻을 전하며 이번 시범사업이 해양환경 보호에 대한 국민 인식 제고로 이어지길 기대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