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화오션, ‘표준 FPSO’로글로벌 해양 시장 정조준미국 선급 ABS와 프랑스 선급 BV로부터 개념 승인 동시 획득해양 플랜트의 상부 구조물 및 선체 설계 역량 다시 한번 입증표준 설계 개발로 공사 기간 단축과 비용 절감 동시에 달성 한화오션이자체 개발한 표준해양 플랜트를 선보이며 글로벌 해양 시장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다. 한화오션은 미국 선급ABS와프랑스 선급 BV로부터동시에 ‘표준 FPSO Pre-FEED 설계’에 대한 개념 승인(AIP, Approval In Principle)을획득했다.부유식원유생산∙저장∙하역설비(FPSO, Floating Production Storage and Offloading)는해저 시추구로부터 원유나 가스를 끌어올려 정제해 저장하고,운반선에 하역까지 담당하는 ‘바다 위의 공장’이다. 한화오션이 개발한 표준 FPSO설계는 길이 340m, 폭 62m크기다.일일 원유 생산량은 19만 배럴이며,약 238만 배럴의 원유를 저장할 수 있다.또 최대5만 5천톤 중량, 1만 7천6백 제곱미터(m2) 규모의 원유 및 가스 생산 설비 상부구조물(Topside)을 수용할 수 있도록 개발됐다.최대 20년간 ‘리도킹(Re-docking)’ 없이가
탈탄소 규제 대응 전략 등 해사업계 당면 과제 공유현지 해사업계 관계자 250여명 참석 네트워킹 시간 가져 KR(한국선급, 회장 이형철)은 지난 10월 9일부터 10일(현지시간) 이틀에 걸쳐 그리스 아테네에서 기술 세미나와 위원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KR 그리스 기술 세미나와 위원회는 그리스 및 인근 지역의 주요 해운회사 등 해사 관련 업계 임직원들에게 최신 기술 동향을 공유하고, 주요 현안을 논의하기 위해 KR이 매년 주최하는 행사다. 9일에 열린 기술 세미나에는 100여명의 해운회사, 조선소, 학계 등 그리스 및 인근 지역의 해사업계 관계자가 참석했으며, △GHG 규제 대응 방안 △ KR의 탈탄소 기술 연구 및 개발 현황 △한국 조선소의 최근 기술 개발 동향 △ 선박 사이버 복원력에 관한 발표를 하여 현지에서 큰 호응과 관심을 받았다. 이어 10일에는 30여명의 KR 그리스 위원회 위원 및 해사업계의 이해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탈탄소 규제 대응 전략 등 국제 해사업계가 당면하고 있는 여러 문제점에 대해 경험을 공유하고 이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방안을 함께 모색하며 의미있는 시간을 가졌다. 뒤이어 진행된 KR 헬라스 나이트(Hellas Night
한화오션, 2024년 3분기 영업이익 256억원‘24년 3분기 매출 2조 7,031억원, ‘23년 3분기 대비 매출 41% 증가사업별 다양한 수익성 제고 노력 통해 실적 개선세 지속 한화오션(대표이사 김희철 사장)은 연결 기준 실적 공시를 통해 2024년 3분기 매출액 2조 7,031억 원, 영업이익 256억 원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2024년 3분기 누계로는 매출액 7조 5,228억 원, 영업이익 689억 원이다. 2024년 3분기 매출액은 조업일수 감소에도 불구하고, LNG 운반선 매출 비중 확대와 ㈜한화에서 양수한 플랜트 사업부 편입의 영향 등으로 전 분기 대비 6.6% 상승했다. 전년 동기보다는 41% 증가했다. 영업이익은 환율 하락과 외주비 증가 등의 일회성 요인을 반영했음에도 불구하고 직전 분기 대비 흑자 전환했다. 상선사업부는 저가 수주 컨테이너선 비중이 감소하고 고수익 LNG선 비중이 증가함에 따라 손익 회복이 본격화됐다. 내년에도 LNG 운반선 평균 선가 상승으로 매출과 영업이익이 더욱 확대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특수선사업부는 수익성 높은 잠수함 및 MRO 사업 위주로 견조한 이익률을 유지하고 있다. 해양사업부는 심해 설비에 전력을 공급하
KR 2024 디지털 기술 세미나 성료디지털 기술의 트렌드와 변화를 한눈에…관계자 간 네크워킹 및 소통의 장 마련 KR(한국선급, 회장 이형철)은 최근 더플라자 서울 호텔에서「2024 KR 디지털 기술 세미나」를 성황리에 종료했다고 밝혔다. 이번 세미나는 해사업계에 AI 융합 기술 개발 및 적용이 빠르게 진행되고 있는 가운데 국내외 고객들에게 KR의 독보적인 기술성과를 전달하고, 해사 산업계의 미래기술 방향에 대한 다양한 의견을 교환하는 소통의 장을 마련하고자 기획됐다. ‘해사산업 디지털 확산과 변화’ 주제로 열린 본 세미나는 6개의 발표로 진행됐으며, 서울대 윤성로 교수의 ‘최신 AI 기술 개념 및 응용’에 대한 초청강연으로 시작됐다. 이후 KR 전문가의 △AI & Digital Physics-based Maritime △AI 솔루션을 이용한 선체구조 응력예측 모델 개발 △AI로 앞서가는 고객 서비스 △선박 운항 빅데이터와 인사이트 △안전한 선박 건조를 위한 최적 도킹 배치 시스템 개발에 대한 발표가 진행되었으며, 국내 산학연 관계자 130여명 참석하여 많은 관심과 호응을 받았다. KR은 디지털 선급으로의 도약이라는 비전 아래 업무 생산성 및 검사
김동관 부회장, 한화오션 방문한 美해군 태평양함대 사령관 만나미 해군 태평양함대 사령관 일행, 정비 함정 점검차 한화오션 거제사업장 방문김동관 부회장, “성공적 사업 수행으로 미국 해군 전력 증강에 기여” 한화그룹 김동관 부회장이 24일 한화오션 거제사업장을 방문한 미국 해군 태평양함대 사령관인 스티븐 쾰러(Steve Koehler) 제독(대장)을 만났다. 김동관 부회장과 스티븐 쾰러 사령관은 한화오션 거제사업장에서 정비 중인 ‘월리 쉬라(Wally Schirra)’함을 함께 둘러보고, 인도·태평양 지역에 배치된 미국 해상수송사령부(Military Sealift Command, MSC) 함정의 MRO(Maintenance, Repair and Overhaul, 유지·보수·정비) 사업에 대한 추가 협력 가능성에 대해서도 논의했다. 한화오션은 지난 7월 미 해군 함정 MRO 사업에 본격 진출하기 위해 함정정비협약(Master Ship Repair Agreement, MSRA)를 체결했으며, 이어 8월 말 첫 프로젝트로 ‘월리 쉬라’함의 창정비를 수주했다. 이 군수지원함은 배수량 4만 톤급으로 한화오션 거제사업장에서 약 4개월간의 정비 작업을 거쳐 내년 1월에 미
한화오션, 글로벌 해양 탈탄소화 센터와 손잡고 친환경 솔루션 개발 박차전략적 파트너십 체결로 탈탄소화 위한 산업계 유기적 연대 박차친환경 연료, OCCS, 에너지 효율 기술 분야 협력 강화 한화오션(대표이사 김희철 사장)은 싱가포르의 글로벌 해양 탈탄소화 센터(Global Centre for Maritime Decarbonisation)와 전략적 파트너십을 체결하고 해양 탄소중립을 위해 협력하기로 했다. 글로벌 해양 탈탄소화 센터는 해양산업의 탈탄소화를 지원하기 위해 2021년 싱가포르 해사항만청(Maritime and Port Authority of Singapore)과 6개의 기업·기관의 지원을 받아 설립된 비영리 단체다. BW 그룹, 하팍로이드(Hapag-Lloyd), 노르웨이 선급(DNV) 등 10개 社가 전략적 파트너로 참여하고 있다. 선박 산업의 탈탄소화 구현을 위해서는 친환경 선박 기술의 개발에 더해 친환경 연료 생산 및 벙커링 인프라 구축 등 산업계 전체의 유기적 연대가 필요하다. 주요 에너지 기업, 선사, 선급, 연구기관과 파트너십을 구축한 글로벌 해양 탈탄소화 센터의 전략적 파트너로 참여함으로써 산업계 전반의 탈탄소화에 영향력을 미칠 수 있
한화오션 세계 최고 수준 해양 설비 건조 기술력 선보여16~18일 국제 해양플랜트 전시회인 ‘Offshore Korea 2024’ 참가FPSO, LNG-FPSO, WTIV, 드릴십 등 해양 설비 4종 전시해양 신재생 에너지 관련 사업 일괄도급 방식(EPCIC) 솔루션 프로바이더로 변화 추구 한화오션이 부산에서 열리는 국제 해양플랜트 전시회(Offshore Korea 2024)에 참가해 세계 최고 수준의 해양 설비 관련 기술력을 대거 선보인다. 한화오션은 올해로 7회째를 맞는 국제 해양플랜트 전시회에서 한화오션이 자랑하는 총 4종의 해양 제품을 선보인다. FPSO(Floating Production Storage and Offloading: 부유식 원유 생산∙저장∙하역 설비), LNG-FPSO(LNG-Floating Production Storage and Offloading: 부유식 액화천연가스 생산∙저장∙하역 설비, FLNG), WTIV(Wind Turbine Installation Vessel: 해상 풍력발전기 설치선), 드릴십 등이다. 이번에 전시되고 있는 해양 설비들은 한화오션의 최첨단 기술력이 적용돼 있어 고객들의 큰 관심을 끌 것으로 기대된다. 한
KR, 원자력 에너지 해양 적용을 위한 국제민간기구「NEMO」가입해양 원자력 기술 적용을 위한 국제 규제‧인허가 체계 정립에 도움 기대 KR(한국선급, 회장 이형철)은 국제 해상 원자력 에너지 협의기구인 NEMO(Nuclear Energy Maritiem Organization)에 정회원으로 가입했다고 10일 밝혔다. NEMO는 해양 원자력 발전 및 원자력 모빌리티와 관련한 모든 이해관계자를 위해 국제 규제 당국과 함께 해상환경에서의 원자력 배치, 운영 및 해체에 이르기까지 글로벌 표준과 규칙 개발 지원을 목표로 올해 3월 처음 설립되어 영국 런던에 사무국을 두고 있다. 현재 NEMO에는 HD한국조선해양을 비롯하여 미국의 대표적인 소형 모듈 테라파워(TerraPower), 웨스팅하우스(Westinghouse) 등 원자력 분야 글로벌 전문 기업과 보험사, 선사, 선급, 에너지기업, 로펌, 컨설팅 기업 등이 참여하고 있다. 동 기구는 올해 2분기부터 공식적인 활동을 시작하여 신규 원자력 분야의 개발에서 높은 수준의 안전성, 보안성, 그리고 적절한 표준치와 규정 개발을 촉진함으로써 회원 및 이해 관계자들 간의 협력과 지식 공유에 기여할 것이라고 밝혔다. 소형 모듈
KR, 자동차 운반선(PCTC)의 안전한 전기차 해상 운송 보고서 발간 KR(한국선급, 회장 이형철)은 자동차 운반선(PCTC)의 안전한 전기차 해상 운송을 위한 보고서를 발간했다고 26일 밝혔다. 전기차는 화재 발생 시 완전한 소화가 어렵다는 특성이 있다. 특히 전기차를 포함하여 다수의 차량을 운송하는 PCTC에서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 대형 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 이에 KR은 PCTC 선박에 적재된 전기차 화재 안전관리를 위하여 올해 초 국내의 여러 PCTC 선사 및 조선소, 국립소방연구원 등 각 분야의 전문가들을 KR 본사에 초청하여 ‘HAZID 워크숍’을 진행했다. 이번에 발간된 보고서는 HAZID 워크숍에서 논의된 전문가 의견과 함께 PCTC에서 발생할 수 있는 전기차 화재 특성을 종합적으로 담고 있다. 특히 선박 건조 및 운항 시 고려해야 할 권고 사항들을 다양하게 제시하여, PCTC 선박의 전기차 화재 안전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을 포괄적으로 다뤘다. KR 김연태 기술본부장은 “본 보고서가 PCTC 선박을 운항하고 건조하는 선사와 조선소에 유용한 지침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며, “KR은 앞으로도 안전한 선박의 건조 및 운항을 위한 기술 서비스를
KR, 해상풍력발전소 승객 및 화물 운송선에 개념승인 수여전기추진 하이브리드 시스템 적용…탄소 배출 저감 및 연료비 절감 기대 KR(한국선급, 회장 이형철)은 국내 조선해양 전문 서비스 기업인 말콘 유한회사가 개발한 해상풍력발전소 전용 승객 및 화물 운송선(CTV, Crew Transfer Vessel)에 대해 개념승인(AIP, Approval In Principle)을 수여하였다고 25일 밝혔다. CTV는 유럽에서 작업 인력 및 필요 장비를 운송하기 위해 해상풍력발전소의 시공 초기부터 유지보수까지 널리 사용되고 있지만, 디젤엔진 사용으로 인한 탄소 배출 문제가 꾸준히 제기되어 왔다. 이번 개념 승인을 취득한 CTV 선박은 배터리를 이용한 친환경 하이브리드 전기 추진 시스템을 적용함으로써, 환경 규제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함과 동시에 연료비 절감과 더불어 안전한 해상풍력발전소 지원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핵심 기자재로는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제공하는 하이브리드 시스템과 에너지저장시스템(ESS), 그리고 유신HR이 공급하는 Linear Jet 추진기 및 하이브리드 CTV용 전력변환장치, 통합 PEMS(Power & Energy Management Sy